전남교육종단연구(JELS)란?
- ◦ 전남교육종단연구(JELS : Jeonnam Education Longitudinal Study)는 전라남도 학생들의 인지적, 정의적, 사회적 변화 및 성장과정에 대한 빅데이터를 장기간에 걸쳐 수집하고, 학교 의 교육활동 및 교육정책이 학생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·분석함으로써 학교 교육활동 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교육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사업
전남교육종단연구(JELS)의 필요성
- ◦ 학생의 변화와 성장을 반영한 자료 구축 필요
- ◦ 기존 연구에서는 제한된 대상으로 한 시점에서의 조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움
→전남교육종단연구(JELS)는 이러한 횡단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학생의 변화와 성장을 매년 추적 조사한 자료의 구축이 필요 - ◦ 교육정책에 대한 성과분석 및 정책 수정을 위한 자료 필요

▲ 조사설계(맥락-투입-과정-산출의 CIPP 모형)
전남교육종단연구의 목적
- ◦ 전라남도 학생들의 인지적, 정의적, 행동적 변화 및 성장과정을 보여줄 수 있는 중‧장기적 자료 수집
- ◦ 학생들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를 통해 학교교육 효과와 교육정책 평가 수행
- ◦ 전남교육 정책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한 중‧장기적인 실증 자료를 수집, 파악하여 빅데이터에 근거한 교육정책 수립 기반 마련
타 시․도교육청 교육종단연구 현황
- ◦ 서울특별시교육청(2010년), 경기도교육연구원(2012년), 부산광역시교육청(2016년), 대구광 역시교육청(2017년), 전라북도교육청(2020년) 등이 각 시‧도의 실정에 맞는 교육종단연구를 실시하고 있음
종단연구명 | 타 시‧도 교육종단연구 | 전남교육종단연구 (JELS) |
||
---|---|---|---|---|
서울교육 종단연구 |
경기교육 종단연구 |
부산교육 종단연구 |
||
연구주체 |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(교육정책연구소) |
경기도교육연구원 (교육정보통계센터) |
부산광역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(교육정책연구소) |
전라남도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(교육정책연구소) |
패널규모 | 초등학교 108개교, 중학교 74개교, 일반고 60개교 총 16,303명 |
총 212개교 11,834명 학생‧학부모, 1,029명 교사 대상 실시 | 초중고 178개교, 학생/학부모 각 9000여명, 교원 1,300여명 | 95여개 초등학교 학생 2,000여명, 75여개 중학교 학생 2,000여명, 학부모 4,000여명, 교직원 900여명 |
설계방법 | 학교급별(초,중,고) 패널 | 학교급별(초,중,고) 패널 | 학교급별(초,중,고) 패널 | 학교급별(초,중,) 패널 순차운영 |
시작년도 | 2010년 | 2012년 | 2016년 | 2018년 |
전남교육종단연구의 특별함
- ◦ 타 시‧도 교육종단연구는 주요한 연구진행과 데이터 클리닝, 결과 분석 등의 전 과정을 외부 용역에 의존, 그 비용이 많이 소요
- ◦ 전남교육종단연구는 조사도구 개발을 비롯하여 설문시스템 구축, 데이터클리닝 및 기초분석 등을 연구소 내 연구원들과 전남 내 교직원들이 개발과정에 직접 참여/실시하여 소요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‘전남교육’의 요구사항에 가장 부합하는 실속 있는 연구를 지향